외계행성 대기는 어떻게 연구하나요?
외계행성 대기는 지구에서 직접 관측할 수 없기 때문에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합니다. 가장 흔한 방법은 **전송 분광법(transit spectroscopy)**입니다.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날 때 (transit), 항성의 빛이 행성의 대기를 통과하게 됩니다. 이때 행성 대기의 성분에 따라 특정 파장의 빛이 흡수되거나 산란되어, 항성의 스펙트럼에 미세한 변화가 생깁니다. 고성능 분광기를 이용하여 이러한 변화를 분석하면 행성 대기의 구성 성분 (예: 물, 메탄, 이산화탄소)과 온도, 압력 등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항성의 빛을 반사하는 행성의 빛을 분석하는 반사 분광법**이 있습니다. 행성이 항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전송 분광법이 어려울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전송 분광법보다 훨씬 어렵고 정확도가 낮습니다. 최근에는 **직접 촬영** 기술이 발전하면서, 거대 망원경을 이용해 행성의 빛을 직접 관측하여 대기를 분석하는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직접 촬영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워 아직까지는 소수의 외계행성에만 적용될 수 있습니다. 각 방법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여러 방법을 조합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추가정보 외계 행성 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