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당순이익(EPS) 계산은 기본적으로 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누는 방식입니다. 즉, EPS = 순이익 / 발행주식수 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조금 더 복잡한 경우가 있습니다. 우선 순이익 자체가 여러 가지 회계처리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발행주식수도 보통주, 우선주 등의 구분과 주식 배당, 자사주 매입 등의 영향을 받아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복잡성 때문에, 단순 EPS 외에도 여러 종류의 EPS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희석 EPS(Diluted EPS)는 주식 옵션이나 전환사채 등을 고려하여 계산한 EPS로, 잠재적인 주식 증가를 반영하여 더 보수적인 수치를 제시합니다. 반면 기본 EPS(Basic EPS)는 단순히 발행 주식 수만을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따라서 투자 분석 시에는 기본 EPS와 희석 EPS를 모두 확인하여 기업의 실제 수익성을 더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EPS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한지는 기업의 상황과 투자 목표에 따라 다르므로, 각각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관련정보 주당순이익(EPS) 완벽 분석: 회계 부정 탐지부터 투자 전략까지


추가정보 주당순이익


네이버백과 검색 네이버사전 검색 위키백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