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는 고려 시대 승려 일연이 1281년에 편찬한 한국의 역사서입니다. 삼국 시대(고구려, 백제, 신라)의 역사를 기록한 ‘삼국사기’와 달리, 삼국유사는 역사뿐 아니라 설화, 불교 관련 이야기, 전설 등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단순한 역사 사실의 나열이 아닌, 당시 사람들의 삶과 생각, 가치관을 보여주는 다채로운 이야기들을 통해 삼국 시대의 문화와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습니다. 특히, 김유신 장군의 일화나 선덕여왕의 지혜를 보여주는 이야기, 흥미로운 신화와 전설 등은 삼국유사의 큰 매력입니다. 삼국사기가 좀 더 공식적인 역사 기록에 가깝다면, 삼국유사는 민중의 이야기와 전설, 그리고 불교 사상이 융합된 독특한 서술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삼국 시대를 이해하는 데 있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합니다. 삼국유사에 담긴 이야기들은 단순한 이야기 이상으로 당시 사회상과 사람들의 삶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며, 한국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관련정보 삼국유사: 신화와 전설의 보고, 그 문헌적 가치


추가정보 삼국유사


네이버백과 검색 네이버사전 검색 위키백과 검색